Spring과 Kafka를 활용한 트랜잭셔널 아웃박스 패턴 구현
개발/Spring2024. 11. 21. 22:50Spring과 Kafka를 활용한 트랜잭셔널 아웃박스 패턴 구현

트랜잭셔널 아웃박스 패턴이란?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는 데이터베이스와 메시지 브로커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예를 들어 콘서트 예매 시스템에서 결제가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내야 하는데, 이 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과 메시지 발행이 원자성을 가져야 합니다.트랜잭셔널 아웃박스 패턴은 이벤트를 바로 메시지 브로커로 보내지 않고, 먼저 데이터베이스의 아웃박스 테이블에 저장한 후 별도의프로세스가 이를 읽어서 메시지 브로커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. 1. 기존 구현의 문제점기존 시스템은 결제 처리와 동시에 카프카로 메시지를 직접 전송했습니다@Transactionalpublic PaymentResult processPayment(PaymentCommand command) { Payment paym..

image